교육 자료

(세균) Aeromonas hydrophila, A. caviae
  • 작성자
    최고관리자
  • 조회
    62
  • 작성일
    2020-01-28

(세균) Aeromonas hydrophila, A. caviae

[출처 : http://phil.cdc.gov/phil/details.asp ID#1225, CDC/ Dr. W.A. Clark]

• 위 험 군 :제 2위험군
• 국내범주 :-
• 특 성 :Aeromonadaceae과, 그람음성, 막대균,운동성 있음, 조건무산소성

 

1. 병원성 및 감염증상

잠복기 : :설사질환의 경우 1~2일, 수영 등 스포츠 활동 중 감염된 경우는 24시간 이내, 조직감염으로 인한 연조직염(Cellulitis)은 8~48시간 이내, A. hydrophila 감염 후 균혈증이 발생하는 기간은 1~38일 

면역기능 저하 환자(특히 간담도계질환이나 악성종양 시)에게 전신 기회감염, 건강한 사람들에게서 설사질환(위장관염), 상처감염 형태로 나타남.

 

2. 치료 및 백신

치료 : 위장관염 증상이 오래 지속될 경우 항생제 투여. ciproloxacin 등 quinolone제제가 권장되며, gentamicin, bactrim 등이 효과를 보임.

백신 : -

 

3. 실험실 생물안전정보

3-1. 감염위해요소 

감염 경로
- 일반 감염경로 : 오염된 음식(고기, 새우, 생선, 유제품 등), 물 섭취 시 분변-경구를 통한 감염.
- 실험자 감염경로 :배양액 등 감염성물질에 직접 접촉 또는 찔림 사고를 통한 감염, 수중동물 및 파충류 취급 시, 섭취 등 경구감염.

감염량 : 1010개체 이상

숙주:사람, 조류, 어류, 동물, 해양 변온동물, 민물 파충류

실험실 획득감염:-

3-2. 생물안전밀폐등급

BL2 권장:감염성물질 및 병원체를 직접 취급하는 실험험

3-3. 개인보호장비 : 반드시 실험복, 장갑을 착용하고, 튈 우려가 있는 경우 눈 보호장구 착용. 에어로졸이 발생하는 조작이나 고농도, 혹은 대용량 배양액 조작은 생물안전작업대(BSC) 내에서 작업할 것을 권장, 주사바늘 및 날카로운 실험도구 사용 자제

소독 및 불활성화 : 1% sodium hypochlorite, 2% glutaraldehyde, 70% ethanol, iodines, phenolics, 121℃에서 15분간 고압증기멸균, 160~170℃에서 1~2시간 건열멸균, 2% glutaraldehyde  등 부록 2(멸균 및 소독) 참고

숙주 외 환경저항성:지하수, 토양, 오염된 호수, 강에서 생존 가능. 염소처리한 식수, 염소처리하지 않은 식수, 미네랄 워터 병음료 등 영양분이 제한된 환경에서도 생존가능. A. hydrophila는 일반적으로 깨끗한 물에서 생존하고 A. punctata는 분변오염이 심한 물에 생존함. 

폐기물 처리:감염성물질을 취급한 모든 폐기물은 고압증기멸균 등의 처리 후 의료폐기물로 처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