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균) Aspergillus spp.
-
- 작성자
- 최고관리자
-
- 조회
- 58
-
- 작성일
- 2020-01-28
(진균) Aspergillus spp.
[A. fumigatus, 출처 : http://phil.cdc.gov/phil/details.asp, ID#15148, CDC]
• 위 험 군 :제 2위험군
• 국내범주 :-
• 특 성 :Trichocomaceae과, 약 250종이 있고 그 중 동물 및 사람감염을 유발하는 것은 60종으로 알려짐
1. 병원성 및 감염증상
잠복기: 2일~3개월
아스페르길루스증(aspergillosis)을 유발함.
알레르기성 증상은 알레르기 기관지폐 아스페르길루수증(allergic bronchopulmonary aspergillosis), 비염, 농부허파(농부 폐, farmerʼs lung), 국소감염 및 표재감염에 의한 피부감염, 귀진균증(otomycosis), 기관기관지염(tracheobronchitis), 손상된 조직 감염과 관련된 아스페르길루스종(aspergilloma), 골수염(osteomyelitis), 침습성 폐감염 또는 폐외 감염을 일으킴.
2. 치료 및 백신
치료 : 적절한 항진균 요법(amphotericin B, triazoles, echinocandis)
백신 : -
3. 실험실 생물안전정보
3-1.감염위해요소
감염 경로
- 일반 감염경로:분생자 흡입에 의한 공기매개감염이고, 병원감염에 의한 유행보고가 많으며 대부분 공사와 관련되어 발생하였음.
- 실험자 감염경로 : 감염성 에어로졸 흡입으로 인하여 감염 가능함.
감염량 : -
숙주:사람, 소, 돌고래, 조류, 말
실험실 획득감염:-
3-2. 생물안전밀폐등급
BL2 권장:임상검체, 의심검체, 감염성물질, 배양체를 취급하는 실험
ABL2 권장:동물 감염실험 및 감염동물 해부 등
3-3. 개인보호장비 : 반드시 실험복을 착용하고, 감염성물질이 피부에 직접적으로 접촉할 경우 장갑 착용, 감염성물질이 튈 우려가 있을 경우 눈보호구 및 호흡보호장비 착용, 에어로졸 발생우려가 있는 조작과 대량 또는 고농도의 균 취급 시 호흡보호장비를 착용하고 생물안전작업대(BSC) 내에서 작업할 것을 권장
3-4. 소독 및 불활성화 : Aspergillus spp.은 sodium hypochlorite, cupric sulphate에 감수성 있음. A. niger는 0.125% butyl paraban ester에 감수성 있음. 분생자는 일반적으로 열에 저항성이 있으나 A. niger와 A. flavus의 분생자는 60℃에서 45분 처리, 121℃에서 30분간 고압증기멸균 등
숙주 외 환경저항성:토양 및 부패 식물에서 생존 가능함.
폐기물 처리:감염성물질을 취급한 모든 폐기물은 고압증기멸균 등의 처리 후 의료폐기물로 처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