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자료

(세균) Acinetobacter baumannii
  • 작성자
    최고관리자
  • 조회
    75
  • 작성일
    2020-01-28

(세균) Acinetobacter baumannii

[출처 : CDC/ Matthew J. Arduino]

• 위 험 군 : 제 2위험군
• 국내범주 :-
• 특 성 :Moraxellaceae과, 그람음성, 짧은 막대균, 운동성 없음, 기회감염균, 산소성

 

1. 병원성 및 감염증상

잠복기 

항생제 내성균주에 의하여 다제내성아시네토박터바우마니균(MRAB) 감염증을 유발함

건강인은 감염위험이 매우 적으나, 면역저하자, 만성폐질환자, 당뇨환자는 감염에 취약함. 특히 90일 이상 장기간 입원 환자의 감염률이 높음

폐렴, 혈류감염, 창상감염을 유발하여 감염에 따라 다양한 증상을 나타내며 폐렴의 전형적인 증상은 발열, 오한, 기침임

 

2. 치료 및 백신

치료 : 항생제 감수성 시험에 근거하여 감수성 있는 항생제로 치료 (※ 대다수의 first­line 항생제에 내성을 보임)

백신 : -

 

3. 실험실 생물안전정보

3-1.감염위해요소 

감염 경로
-일반 감염경로 : 사람 간 접촉, 오염된 표면 또는 환경에 노출
-실험자 감염경로 : 상처 난 피부에 노출 및 날카로운 도구에 찔림, 배양액 등 감염성물질 취급 시 발생하는 에어로졸 흡입.

감염량 : 사람 감염량은 알려지지 않음. 호중구 감소성 쥐(neutropenic mice)의 복강 내 주사 시 LD50은 106~108 cells

숙주:사람, 실험동물로 쥐 이용

실험실 획득감염:-

3-2.생물안전밀폐등급

BL2 권장:감염성물질 및 병원체를 직접 취급하는 실험

ABL2 권장:동물 감염실험 및 감염동물 해부 등

3-3. 개인보호구 : 반드시 장갑, 실험복을 착용하고, 에어로졸이 발생하는 조작이나 고농도, 혹은 대용량 배양액 조작은 호흡보호장비를 착용하고, 생물안전작업대(BSC) 내에서 작업할 것을 권장, 주사바늘 및 날카로운 실험도구 사용 자제

3-4. 소독 및 불활성화 : 70% ethanol, 121℃에서 15분 이상 고압증기멸균 등 부록 2(멸균 및 소독) 참고

숙주 외 환경저항성:건조한 환경에서 잘 자람(저항성이 있음). 건조한 filter paper에서 6일간, dry glass cover slip에서 27일간 생존 가능, 사람 피부에서도 수일간 생존 가능
(출처: Acinetobacter in Healthcare Settings. 2010. CDC. US.)

폐기물 처리:감염성물질을 취급한 모든 폐기물은 고압증기멸균 등의 처리 후 의료폐기물로 처리